입사/퇴사/생활안내Dormitory

비상시 행동요령

화재발생시 대처요령

화재 발생시 어떻게 행동해야 할까요?

  1. 1. 화재가 발생한 것을 발견하면 큰소리로 “불이야!” 라고 외쳐 다른 사람에게 알리고, 화재 경보 비상벨을 누릅니다.
  2. 2. 화재가 발생했을 때에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지 말고 계단을 이용해야 합니다. 아래층으로 대피가 불가능할 때에는 옥상으로 대피합니다.
  3. 3. 불길 속을 통과할 때에는 물에 적신 담요나 수건 등으로 몸과 얼굴을 감싸주세요. 연기가 많을 때 한 손으로 코와 입을 젖은 수건 등으로 막고 낮은 자세로 이동해야 합니다.
  4. 4.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였다면 119로 신고합니다.(화재장소를 침착하고 올바르게 알려줍니다.)
  5. 5. 주위사람과 협력하여 소화기, 소화전을 이용하여 초기 소화합니다.
소화기 사용법

실내에서 사용할 때는 밖으로 대피 할때를 대비하여 문을 등지고

소화기 사용법
1. 소화기를 가져와서 몸통을 단단히 잡고 안전핀을 뽑는다. 2. 노즐을 잡고 불쪽을 향해 가까이 이동한다. 3. 손잡이를 꼭 움켜쥔다. 4. 분말이 골고루 불을 엎을 수 있도록 쏩니다.
  1. 1. 소화기를 가져와서 몸통을 단단히 잡고 안전핀을 뽑는다.
  2. 2. 노즐을 잡고 불쪽을 향해 가까이 이동한다.
  3. 3. 손잡이를 꼭 움켜쥔다.
  4. 4. 분말이 골고루 불을 엎을 수 있도록 쏩니다.
소화전 방법

2인 1조로 사용할 경우

소화전 방법
1. 문을 연다. 2. 호스를 빼고 노즐을 잡는다. 3. 벨브를 돌린다. 4. 불을 향해 쏜다.
  1. 1. 2명중 1명이 먼저 소화전함의 문을 열고 호스와 노즐이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한후
  2. 2. 호스를 밖으로 꼬이지 않아도 불이 난 곳까지 길게 늘어뜨린후 노즐(관창)을 잡고 방수자세를 취한다.
  3. 3. 다른 한사람이 벨브를 돌려 물이 나오는 것을 확인 한 후 뛰어가서 호스를 잡는 것을 도와줍니다.
  4. 4. 노즐의 끝을 돌려 물의 양을 조절해가며 불을 끕니다.
옷에 불이 붙었을 때

얼굴 화상방지와 연기가 폐로 들어가지 않도록

옷에 불이 붙었을 때
1. 멈춘다. 2. 눈과 코와 입보호. 3. 엎드린다. 4. 뒹군다.
  1. 1. 옷에 불이 붙었을 때는 하던 일을 멈추고
  2. 2. 얼굴(눈, 코, 입)에 화상을 입지 않도록 두 손으로 감싸도록 합니다.
  3. 3. 바닥에 엎드린 후
  4. 4. 몸을 뒹굴어서 불이 꺼지도록 합니다.

응급상황시 대처요령

응급상황 발생시 어떻게 행동해야 할까요?

  1. 1. 환자의 양쪽 어깨를 두드리며 반응(의식)과 호흡 상태를 확인합니다.
  2. 2. 주변에 도움을 요청하고, “119”신고합니다. (발견장소와 현 상황을 정확히 알린다.) 또한 자동제세동기를 요청한다.
  3. 3. 심폐소생술과 자동제세동기 사용방법은 다음와 같다.
심폐소생술 방법
심폐소생술 방법
1. 의식확인 2. 구조요청(119신고) 3. 흉부압박 30회 4. 기도유지 5. 인공호흡 2회
  • 심폐소생술 (CRT)
  • 갑자기 심장과 폐의 기능이 멈췄을때 인위적으로 호흡과 혈액 순환을 도와 몸 속의 산소를 유지시켜 뇌손상 및 사망을 예방하고 환자의 예후를 긍정적으로 돕기 위한 응급처치 입니다.
자동제세동기 사용방법
자동제세동기 사용방법
1. 전원켜기 2. 패드부착(오른쪽 빚장뼈 바로아래, 왼쪽 젖꼭지 옆 겨드랑이) 3. 리듬분석, 제세동전 환자와의 접촉금지 4. 전기충격(쇼크) 5. 심폐소생술 실시(흉부압박 30회,인공호흡2회)
  • 자동제세동기 (AED)
  • 흉벽을 통하여 심장에 전류를 가하는 치료방법 (심정지 발생 5분 이내에 제세동술을 시행할 경우 심폐소생술만 하는 것보다 환자의 소생률이 높아진다.)